30초 컷! PC 카카오톡 광고, 아주 쉽게 없애는 비법 공개

30초 컷! PC 카카오톡 광고, 아주 쉽게 없애는 비법 공개

목차

  1. PC 카카오톡, 왜 광고가 생겼을까요?
  2. 광고 차단, 정말 간단한 방법은?
  3. hosts 파일이란 무엇이며, 왜 광고를 차단할 수 있나요?
  4. Windows에서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초간단 방법
    • 1단계: hosts 파일 경로 찾기
    • 2단계: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 3단계: hosts 파일 열기 및 수정하기
  5. Mac OS에서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초간단 방법
    • 1단계: 터미널 앱 열기
    • 2단계: sudo nano 명령어 실행하기
    • 3단계: hosts 파일 수정 및 저장하기
  6. 광고 차단 후 확인 및 문제 해결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이 방법이 안전한가요?
    • Q2: hosts 파일을 수정했는데도 광고가 보인다면?
    • Q3: hosts 파일을 원래대로 되돌리고 싶어요.

PC 카카오톡, 왜 광고가 생겼을까요?

PC 카카오톡은 우리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메신저가 되었습니다. 친구, 가족은 물론 업무까지 다양한 소통을 책임지고 있죠. 하지만 어느 날부터인가 PC 카카오톡 대화 목록 상단에 불쑥 나타나는 광고 배너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셨을 겁니다. 처음에는 작은 배너였지만, 점점 크고 눈에 띄게 변하면서 사용자 경험을 해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운영하는 카카오 측은 사용자에게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을 택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무료 서비스가 채택하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소통에 집중하고 싶을 때마다 시선을 강탈하는 광고가 반갑지 않은 것이 당연합니다. 특히 카카오톡을 업무용으로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더욱 방해가 되죠. 다행히도 이러한 광고를 매우 쉽고 간단하게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오늘 그 방법을 상세하게 알려드릴 테니, 쾌적한 카카오톡 환경을 다시 되찾아보세요.

광고 차단, 정말 간단한 방법은?

많은 분들이 PC 카카오톡 광고를 없애기 위해 복잡한 프로그램이나 유료 앱을 찾아보시곤 합니다. 하지만 그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방법은 바로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hosts 파일은 운영체제(Windows, Mac 등)에 내장된 시스템 파일로, 특정 도메인 주소를 사용자가 원하는 IP 주소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면 카카오톡 광고 서버로 향하는 연결을 차단하여 광고가 표시되지 않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우 쉽습니다: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나 설정이 필요 없습니다.
  • 안전합니다: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 걱정이 없습니다. 시스템 파일만 수정하고, 언제든지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 효과적입니다: 카카오톡 광고 서버의 연결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광고가 완전히 사라집니다.

이제 hosts 파일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여러분의 컴퓨터 운영체제에 맞춰 직접 따라 해보세요.

hosts 파일이란 무엇이며, 왜 광고를 차단할 수 있나요?

hosts 파일은 우리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될 때 가장 먼저 확인하는 파일 중 하나입니다. 여러분이 웹사이트 주소(예: [의심스러운 링크 삭제됨])를 입력하면, 컴퓨터는 먼저 hosts 파일을 보고 해당 주소에 대한 IP 주소가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hosts 파일에 해당 주소가 없다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 접속하여 IP 주소를 받아오게 됩니다.

이러한 hosts 파일의 특성을 이용하면 광고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광고는 특정 서버에서 광고 이미지를 받아와서 보여주는 방식입니다. 이 서버의 도메인 주소(예: https://www.google.com/url?sa=E\&source=gmail\&q=ad.kakao.com)를 hosts 파일에 추가하고, 이 주소를 엉뚱한 IP 주소(예: 127.0.0.1, 즉 내 컴퓨터 자체)로 연결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PC 카카오톡이 광고를 표시하기 위해 해당 서버에 접속하려 할 때, hosts 파일의 설정에 따라 내 컴퓨터의 로컬 주소로 연결을 시도하게 됩니다. 당연히 그곳에는 광고 데이터가 없으므로 광고가 로딩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광고 영역이 깨끗하게 비어 보이게 되는 원리입니다.

Windows에서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초간단 방법

Windows 사용자라면 아래 단계를 순서대로 따라 해보세요. 매우 간단합니다.

1단계: hosts 파일 경로 찾기
hosts 파일은 Windows 시스템 폴더 내에 위치해 있습니다. 정확한 경로는 C:\Windows\System32\drivers\etc 입니다. 이 경로를 기억해 두거나 복사해 두세요.

2단계: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기
hosts 파일을 수정하려면 관리자 권한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Windows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검색 창을 클릭합니다.
  • ‘메모장’을 검색합니다.
  • 검색 결과로 나온 ‘메모장’ 앱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합니다. 이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파일을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3단계: hosts 파일 열기 및 수정하기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된 메모장에서 다음 절차를 따릅니다.

  • 메모장 메뉴에서 **’파일’**을 클릭하고 **’열기’**를 선택합니다.
  • 파일 열기 창이 나타나면, 우측 하단의 파일 형식을 **’텍스트 문서(.txt)’\*에서 **’모든 파일(.\)’**로 변경합니다.
  • 1단계에서 확인한 경로(C:\Windows\System32\drivers\etc)로 이동합니다.
  • ‘hosts’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 이제 hosts 파일 내용이 메모장에 나타납니다. 맨 마지막 줄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

127.0.0.1 ad.kakao.com
127.0.0.1 ad.kakao.com
127.0.0.1 sb-talk.kakao.com

  • 줄바꿈 후 한 줄씩 추가해주세요.
  • ‘파일’ 메뉴에서 **’저장’**을 클릭합니다.

이제 PC 카카오톡을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해보세요. 놀랍게도 광고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c OS에서 hosts 파일을 수정하는 초간단 방법

Mac 사용자라면 터미널 앱을 이용해 hosts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Windows와 마찬가지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1단계: 터미널 앱 열기

  • Spotlight 검색(Command + Spacebar)을 열고 ‘터미널’을 입력한 후 실행합니다.
  • 또는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폴더에서 ‘터미널’ 앱을 찾아 실행해도 됩니다.

2단계: sudo nano 명령어 실행하기

  • 터미널 창에 다음 명령어를 정확하게 입력한 후 엔터(Enter) 키를 누릅니다.

sudo nano /etc/hosts

  • 그러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 Mac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릅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화면에 아무것도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입력되고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3단계: hosts 파일 수정 및 저장하기

  • hosts 파일이 터미널 편집기(nano)에 열립니다.
  • 키보드 방향키를 이용해 가장 마지막 줄로 이동합니다.
  • 새 줄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

127.0.0.1 ad.kakao.com
127.0.0.1 sb-talk.kakao.com

  • 수정이 완료되면, 컨트롤(Control) + O 키를 동시에 누르고 엔터(Enter) 키를 눌러 저장합니다.
  • 이어서 컨트롤(Control) + X 키를 동시에 눌러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이제 PC 카카오톡을 완전히 종료한 후 다시 실행해보세요. 깔끔해진 대화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고 차단 후 확인 및 문제 해결

hosts 파일을 성공적으로 수정했다면, PC 카카오톡을 재시작했을 때 광고가 깨끗하게 사라져야 합니다. 만약 여전히 광고가 보인다면 다음 사항을 확인해 보세요.

  • PC 카카오톡 완전 종료 여부: hosts 파일 수정 후 반드시 카카오톡 프로그램을 완전히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해야 합니다. 작업 관리자(Windows) 또는 활성 상태 보기(Mac)에서 카카오톡 프로세스가 완전히 종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오타 확인: hosts 파일에 추가한 주소에 오타가 없는지 꼼꼼히 확인하세요. 127.0.0.1ad.kakao.com, sb-talk.kakao.com 사이에 공백이 있는지, 오타는 없는지 다시 한번 점검합니다.
  • 관리자 권한 실행 여부: Windows의 경우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았다면 파일이 제대로 저장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이 방법이 안전한가요?
네, 매우 안전한 방법입니다. hosts 파일은 원래 시스템이 도메인 주소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파일이며, 여러분이 추가한 내용은 악성 코드가 아니며, 단순히 특정 서버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역할만 수행합니다. 언제든지 추가한 내용을 삭제하면 원래대로 돌아갑니다.

Q2: hosts 파일을 수정했는데도 광고가 보인다면?
앞서 설명한 대로 오타가 있는지, 그리고 관리자 권한으로 파일을 수정했는지 다시 확인해 보세요. 또한, PC를 재부팅하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Q3: hosts 파일을 원래대로 되돌리고 싶어요.
간단합니다. hosts 파일을 다시 열어서 여러분이 추가했던 127.0.0.1 ad.kakao.com127.0.0.1 sb-talk.kakao.com 두 줄을 삭제하고 저장하면 됩니다. 이 방법은 언제든지 원상 복구가 가능하니 부담 없이 시도해 보세요.

이처럼 hosts 파일을 이용한 방법은 매우 간단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입니다. 복잡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단 몇 분 만에 쾌적한 PC 카카오톡 환경을 만들 수 있으니 지금 바로 따라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