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보수 임원도 퇴직금 받을 수 있을까? 쉬운 계산 방법 알아보기
목차
-
- 무보수 임원의 퇴직금 지급 여부
-
- 무보수 임원 퇴직금 계산 방법
- 2.1. 평균임금 기준 계산
- 2.2. 퇴직금 지급규정 기준 계산
- 무보수 임원 퇴직금 계산 방법
-
- 무보수 임원 퇴직금 지급 시 주의 사항
-
- 퇴직금 관련 세금
1. 무보수 임원의 퇴직금 지급 여부
무보수 임원이라도 회사에 기여한 바가 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지급 여부는 회사의 정관 또는 퇴직금 지급 규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정관이나 퇴직금 지급 규정에 명확한 규정이 없는 경우, 법원 판례에 따라 판단됩니다.
2. 무보수 임원 퇴직금 계산 방법
무보수 임원의 퇴직금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2.1. 평균임금 기준 계산
평균임금 기준 계산은 퇴직직전 1년간 지급받은 총급여액을 근속연수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 계산 공식: 퇴직직전 1년간 총급여액 ÷ 근속연수 = 퇴직금
2.2. 퇴직금 지급규정 기준 계산
퇴직금 지급규정 기준 계산은 회사의 퇴직금 지급 규정에 따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퇴직금 지급 규정에는 퇴직금 지급 비율, 근속연수 산정 방법 등이 정해져 있습니다.
- 계산 방법: 퇴직금 지급 규정 참고
3. 무보수 임원 퇴직금 지급 시 주의 사항
무보수 임원 퇴직금 지급 시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 퇴직금 지급 근거: 무보수 임원이라도 회사에 기여한 바가 있어야 퇴직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퇴직금 지급 금액: 퇴직금 지급 금액은 회사의 재정 상태를 고려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 퇴직금 지급 시기: 퇴직금은 퇴직 후 3개월 이내에 지급해야 합니다.
4. 퇴직금 관련 세금
퇴직금은 소득의 일종으로 간주되므로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퇴직금을 받는 임원은 퇴직소득공제를 신청하여 납부해야 할 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5. 맺음말
무보수 임원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지만, 퇴직금 지급 여부와 계산 방법은 회사의 정관 또는 퇴직금 지급 규정에 따라 다릅니다. 무보수 임원 퇴직금 지급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회사의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